
세팅 후 다음 날은 두 쪽 다 백탁이 왔었습니다.
백탁의 해결법은 시간이겠지요?
https://jangborimart.tistory.com/159
수조에 백탁이 올 경우 해결법, 백탁은 기다림이 답입니다
순항을 하는 것 같던 30배럭 한 쪽에 백탁이 왔습니다. 뭐 사진상으로는 잘 안 보이긴 하는데, 확실히 뿌옇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사료 급여량 과다에 따른 백탁이 온 것 같습니다. 세상 물생활
jangborimart.tistory.com
그래서 그냥 그러려니 하고 기다려봅니다.

3일 후 102호는 백탁이 없어졌습니다.
101호는 아직 그대로입니다.
생물이 없는 곳에 백탁이 좀 더 오래 가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유는 모르겠으나, 생물도 없는데 그러려니 하고 좀 더 기다리면 되겠습니다.

일단 102호는 환수주기에 맞춰서 환수를 해 줍니다.
그냥 30% 정도 해 줬는데, 개체수도 두마리 밖에 안 되서 환수량이 뭐 큰 의미는 없는 듯 합니다.
그리고 밥 양을 조금 늘려줍니다.
차차 밥 양도 늘리고 시간이 지나면 다른 개체도 늘리고 하면서 물을 잡으면 됩니다.
101호는 그냥 한달 내내 묵힐 예정입니다.

101호 테스트 결과입니다.
별로 변화가 없습니다.

102호 테스트 결과입니다.
역시나 별 변화가 없습니다.
예전에 비슷한 테스트를 할 때도 봤지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려면 2주는 더 지나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jangborimart.tistory.com/476
리셋을 합시다(4, 끝)
https://jangborimart.tistory.com/468 리셋을 합시다(1) 오른쪽 수조에는 알비노 골드스트라이프 코리도라스들이 살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수조를 리셋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셋이나, 사실 새로 물을
jangborimart.tistory.com

또 특이한 점은 102호는 벽면에 기포가 다 없어졌는데 101호는 여전히 기포가 있다는 겁니다.
이게 생물이 들어간 것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이지요. 아니면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소소한 물생활 > 주저리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항 물잡이 방법 (4) : 구색 맞춰 생물 추가 투입 (0) | 2022.05.19 |
---|---|
어항 물잡이 방법 (3) : 사라진 백탁과 움직이는 수치 (0) | 2022.05.15 |
어항 물잡이 방법 (1) : 과정과 방법 (0) | 2022.05.03 |
여름철 수조 관리 방법, 더운 여름을 어떻게 보낼까? (1) | 2021.08.06 |
한달 후 (0) | 2021.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