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물생활/주저리주저리

어항에 적정한 숫자는 몇마리일까? 과밀여부는 여과력에 달렸다

728x90
반응형

처음에 수조를 세팅하고 우당탕탕 물생활이 시작되는 단계를 지나면, 자연스럽게 개체수가 늘게 됩니다.

구피라면 다른 특별한 것을 해 주지 않더라도 치어를 낳기 때문에 수가 늘어나게 되고, 또 수족관이든 어디든 물고기 있는 곳을 가게 되면 또 유혹을 못 이기고 봉달봉달을 해 오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과연 우리집 수조에 맞는 개체수가 얼마인지 궁금할 때가 있고, 가끔은 이 수조가 지금 과밀이 아닐까? 과밀이면 또 겨우 안정된 수조가 뒤집어지는 것 아닐까 걱정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연 과밀여부를 어떻게 봐야 하는가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밀일까요? 아닐까요?

대개 적정 숫자는 1리터 당 1cm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 이게 단순하게 카더라가 되어 1리터 당 1마리라고 변질되었습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두자광폭은 물양이 121리터이므로 3cm짜리 유어를 키운다고 하면 약 40마리 정도가 적정 숫자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 알려진 적정 숫자의 큰 맹점이 있습니다. 바로 여과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어떤 여과방식을 가지고 있는 여과기인지, 또 그 여과기가 몇 개인지 등의 정보를 무시하고 계산하기 때문에 당연히 실제와 차이가 있게 됩니다. 

 

예를 들면 저 수조에는 스펀지여과기 2개와 박스저면여과기를 쓰고 있고 여과재는 한 5리터 들어갑니다. 그러나 같은 수조에 측면여과기 7W 하나 달랑 걸어놓을 수도 있고, 스펀지여과기를 미니사이즈를 쓰고 있을 수도 있지요. 이런 차이가 당연히 적정 숫자의 차이를 부르게 됩니다.

 

물론 여과기의 방식이 물리적>생물학적으로 갈 수록, 또한 같은 스펀지 필터방식이라면 스펀지의 표면적이 넓을 수록, 여과재를 쓰는 방식이라면 여과재의 기공이 촘촘하고, 여과재의 양이 많이 들어 갈수록 당연히 적정 숫자가 늘어납니다. 결국 정해진 공식은 없고, 여과력에 따라 비례하게 됩니다.

 

같은 수조 크기라도 결국에 여과력이 높으면 들어갈 수 있는 개체수도 당연히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여과력은 처음부터 생각보다 좀 더 과하게 해 놓을 수록 좋습니다. 개체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에 대한 버퍼가 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왼쪽은 과밀이고, 오늘쪽은 과밀이 아닐까요?

또한 또 다른 맹점은 개체의 종류를 전혀 감안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 개체들이 구피인지, 아니면 안시인지, 코리인지, 아니면 똥을 더 잘 싸는 금붕어인지 전혀 고려하지 않는 계산 방법입니다.

지금 왼쪽은 개체수로 따지면 과밀입니다. 안시와 구피가 들어 있습니다. 오른쪽은 널널하지요. 안시와 구피와 코리가 들어가 있지만 개체수가 적습니다. 그러나 여과방식은 똑같아서 복사, 붙여넣기 한 듯이 스펀지 슈퍼쌍기 2개를 쓰고 있습니다. 

문제는, 오른쪽에 있는 콜레어는 결국 수질을 많이 타기 때문에(그걸 모르고 대충 굴렸다가 수염을 다 녹여먹이는 참사가......) 그러면 생각보다 더 과밀여부와 상관없이 어느정도 여과력을 보충을 해놔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안시는 생각보다 똥을 많이 싸긴 하지만, 이는 집똥기로 해결해놓고 묵은 물을 좋아하므로 여과력만 어느정도 받쳐주고는 환수로 관리를 하면 됩니다. 그러므로 결국 두 수조는 개체수와 상관없이 여과기를 비슷하게 놔주고 살펴봐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단순하게 리터당 몇마리가 문제가 아니라, 과밀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여과방식을 고려해야 하고, 어떤 개체를 키우는지를 고려를 해야 합니다. 결국은 각각의 개체에 대한 공부와 여과방식에 대한 공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다짜고짜 수조 사진 올려놓고, 이게 과밀이냐고 물어보는 분들이 있는데 사실 워낙 편차가 크고 바로바로 산수처럼 계산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난감하긴 합니다. 답은 공식 같은 건 없고, 사실 키워봐야 합니다. 빌빌대면 결국엔 여과가 부족하던지 수조가 작던지, 개체수가 많던지라는 결론이니 이는 수조관리의 영역으로 접근하면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아직까지는 그 개체수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뜻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여튼 1리터에 1마리는 아닙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