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물생활/주저리주저리

물잡이 중 환수를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물잡이 중 환수에 대한 짧은 생각

728x90
반응형

처음에 수조를 세팅한 분들이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부분입니다.

 

"물잡이"를 검색하고 방법을 찾아서 하시는 분들의 시작은 거의 같습니다.

수조를 사서, 일단 물을 가득 채워 물샘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을 한 후, 문제가 없을 경우 물을 빼고 바닥재를 채운다음 물을 채우고, 스펀지 여과기를 설치합니다.

 

그리고 물을 주구장창 돌립니다. 

1주일쯤 돌리다보면 조금 조급해집니다. 환수를 해야 할 것 같기도 하고, 하지 말아야 할 것 같기도 하고 의문이 들지요.

거기에 백탁까지 한번 오시면 더더욱 조급해지게 됩니다. 

 

과연 물잡이 중에 환수가 필요할까요?

물론, 이 부분은 갑론을박이 있습니다. 환수를 해야 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아니 생물도 없는데 무슨 환수를 하느냐고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냥 개인적인 생각이고, 경험적으로 느낀 점을 끄적여보면,

물잡이 중 환수여부는 바닥재에 따라 갈린다고 봅니다.

 

만약 바닥재를 깔지 않거나(탱크항), 산처리되지 않은 흑사를 깔았을 경우에는 환수를 해주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아직도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저 케이스의 경우에는 1주일 정도 후에 보니 pH가 거의 8.5까지 올라갔었습니다. 저는 쌩물로 물을 잡을 때 쓴 여과기가 테트라 쌍기와 세라 쌍기 두 개 밖에 없어서 표본은 좀 부족하긴 한데, 항상 그랬던 기억입니다. 그래서 환수를 해주면 pH가 7.5 정도로 안정화 되고, 그 이후에는 크게 변동이 없거나 조금 올라가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시간이 지나면 이제 생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pH가 중성 즈음으로 안정화되면서 물이 잡혔던 것 같습니다. 결국 pH가 드라마틱하게 오르내리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산처리된 흑사나, 소일을 깔 경우에는 환수를 안 해주는 게 더 나을 듯 합니다. 흡착계 소일은 모르겠는데, 영양계 소일 같은 경우에는 물잡이 중 pH가 크게 변동이 없었습니다. 아무래도 소일이 pH를 올라가는데 있어 버퍼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만 됩니다. 또한 산처리된 흑사는 소일보다는 pH가 올라가긴 하지만, 탱크항만큼 엄청나게 올라가진 않기 때문에 따로 생물이 들어가기 전에는 환수를 할 필요가 있는가는 의문입니다. 또한 소일은 괜히 환수하다가 분진만 차오르는 참사가 벌어질 가능성도 있으므로 그냥 두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물론 저는 소일항을 항상 말아 먹었기 때문에 소일에 대해서는 할 말이 별로 없습니다. 지금도 소일은 별로 안 좋아하고, 초보자가 무턱대고 선택 할 만한 바닥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구형 아마조니아는 초보가 손 댔다가는 후루룩 말아먹기 적합한 바닥재지요)

 

물론 그 사이에 NH4나 NO2를 측정할 수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하필 그 때는 시약이 없었고, pH만 체크를 했던터라 무조건 이렇게 하라고 이야기를 하기는 어폐가 있기는 하고 상당히 조심스럽긴 합니다. 

 

결론은 pH가 급변하게 만드는 바닥재를 쓰거나, 바닥재를 쓰지 않을 경우에는 환수를 일정량(20~30%) 해 주면서 어느정도 사이클을 잡아 나가는 것이 적당하며, pH 산성 버퍼 바닥재를 사용하는 수조의 경우에는 여과기를 믿고 백탁이 오시던지 가시던지 상관없이 그냥 쭉 지켜보는 것이 적당한 듯 합니다. 대신 소일(특히 영양계 소일)의 경우에는 정말 1달 이상은 빈 수조를 볼 생각하시고, 너무 물이 줄어들면 첨수 정도만 하면서 사이클을 잡아나가시면 될 듯 합니다.

 

사실 이 부분은 정답이 없습니다.

제가 맞다고 하기도 좀 그렇고, 그냥 물잡이 하시는 분들 도움이나 됐으면 좋겠습니다.

물은 시간이 잡아주고, 조급함이 날려버립니다. 이것만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